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RAON K 2018 정체 기능부터 삭제하는 방법까지

by Planzee 2023. 4. 12.
반응형

RAON K 2018이라는 프로그램을 처음 보게 되면 이게 뭐지? 하는 생각과 함께 혹시 광고 프로그램인가, 혹은 피싱 프로그램인가 놀라는 분들이 계실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이 라온 K라는 프로그램은 걱정할 필요 없는 안전한 프로그램이며 우리가 공공기관 이용 시 필수 프로그램으로 설치하는 여러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raon K 2018에 대해서 간단한 소개와 함께 손쉽게 삭제하는 방법까지 소개해 보겠습니다.

 

RAON K 2018 너의 정체가 무엇이냐

raon_k_2018

raon K라는 프로그램은 RAONWIZ 라온위즈라는 회사에서 만든 프리미엄 솔루션 프로그램입니다.

홈페이지에 방문하면 RAON K 솔루션 단독 홈페이지로 이동하게 나오는데 제품군으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인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이 홈페이지에 방문하여 이러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한 적은 모두 없을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방문하게 되는 공공기관에 접속하게 되면 보안 프로그램 및 파일의 전송이나 필요한 업무를 뒷받침해 주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입니다.

 

 

raon_k_2018

특히 raon K 클라이언트 제품군의 설명에 따르면 HTML5 에디터, 파일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의 빠른 속도 및 보안 솔루션을 비롯하여 디자인과 사진 편집툴의 기능을 하는 상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 우리 컴퓨터에 깔려 있는 RAON K 2018의 구체적인 역할을 매칭하긴 어렵지만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를 방문 시 설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홈택스에 방문하여 업무를 볼 때 필요한 프로그램 설치를 눌러서 우리 컴퓨터에 설치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국세청 업무를 자주 보시거나 국세청 업무를 자주 본다 하더라도 파일의 업로드나 웹편집 이미지 및 디자인 편집과 관련된 업무를 하지 않는 한 크게 필요한 프로그램은 아닙니다만 개인이 국세청 홈텍스를 방문할 일이 많지 않기 때문에 우선은 삭제하고 필요할 경우 설치하는 방법으로 진행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라온k_2018

라온K는 현재 컴퓨터에서 백그라운드에서 일하는 비중이나 용량을 거의 안 잡아 먹기 때문에 PC 성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진 못합니다. 그렇다고 굳이 자주 사용하지 않는데, 이렇게 들어왔는데 그냥 나가기보다 지워 주는 편이 성능 향상에 0.1%라도 도움이 되겠죠.

 

여러 국가기관 사이트를 방문하여 로그인을 하게 되면 보안 프로그램이 쌓이고 쌓여 웹 서핑이나 성능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기 때문에 꼭 필요한 프로그램이 아니면 지워 주시는 것이 쾌적한 웹서핑에 도움이 됩니다.

 

 

 

RAON K 2018 삭제하자

윈도우 키 + E를 눌러서 윈도우 탐색기를 시작합니다. 시작에서 제어판을 검색해 제어판에 들어가서 프로그램 제거를 눌러 주셔도 동일합니다.

 

바탕화면의 내 컴퓨터를 클릭해 주셔도 됩니다.

raon_k_2018_삭제하기

윈도우 탐색기를 띄우고 좌측에 내 PC를 누르게 되면 우측 상단에 프로그램 제거 또는 변경이 뜨게 됩니다.

프로그램을 삭제할 것이기 때문에 프로그램 제거를 눌러 줍니다.

 

 

 

raon_k_2018_삭제하기

그럼 앱 및 기능이 뜨게 되는데 검색창에 raon K를 다 치기 전에 RAON K 2018이 뜨게 됩니다.

해당 파일을 지울 것이기 때문에 클릭합니다.

 

 

 

raon_k_2018

라온k를 눌러서 제거 버튼이 나타나게 되면 제거를 눌러 주시면 됩니다.

 

삭제 제거의 판단은 본인의 몫이며 자주 홈텍스에 방문하는 거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도라면 지워도 되고 안 지워도 됩니다.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Bonjour 프로그램 이게 왜 깔린 거죠? 삭제 방법까지 초스피드로 (tistory.com)

 

iniLINE crossEX service가 뭔데 삭제해도 되나요? (tistory.com)

 

이니세이프(inisafe) 삭제 or 업데이트 방법 북한 해킹 프로그램 이슈 (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