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디딤씨앗통장 지원금 기준 혜택 후원 방법 중도 해지 한꺼번에 보자

by Planzee 2024. 12. 26.
반응형

우리나라에서는 저소득층을 위한, 특히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몇 가지 지원 혜택들이 있는데요. 그 중 하나가 바로 디딤씨앗통장입니다. 물론 그냥 지원금을 주는 형식이 아닌, 일정 금액의 저축을 통해서 저축하는 습관도 기르고 올바른 소비 형태도 기를 수 있는 좋은 제도인데요. 단순히 돈만 모으는 것이 아니라 정부에서 매칭해서 지원금을 넣어 주기 때문에 목돈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혜택과 기준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디딤씨앗통장이란?

디딤씨앗통장은 저소득층 아동의 자산 형성을 지원해서 사회에 나가게 되면 경제적 자립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보건복지부와 아동권리보장원이 주관하는 사업입니다.

 

말 그대로 정책형 저축 통장인데요. 단순히 저축을 통한 자산 형성이 아니라 정부와 민간 후원금을 매칭하여 더욱 큰 목돈을 마련하도록 하는 통장입니다.

 

아동이 후원 등을 통하여 납입하는 금액에 1:2 비율로 정부가 매칭 지원하여 더 많은 금액이 쌓이도록 하는데요. 매월 10만 원 한도 내에서 지원하게 됩니다.

 

 

디딤씨앗통장 신청 자격 요건

디딤씨앗통장을 통해 지원하기 위한 대상의 자격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보호 대상 아동 - 만 18세 미만의 아동복지시설(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보호 아동, 가정 위탁 보호 아동, 장애인 생활시설 아동, 소년소녀가장 아동
  • 기초생활수급가구 아동 - 만 18세 미만의 중위소득 50% 이하의 수급 가구(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아동

 

가구원 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기준 중위소득
50%
2024년 1,114,223원 1,841,305원 2,357,329원 2,864,957원 3,347,868원 3,809,185원
2025년 1,196,007원 1,966,329원 2,512,677원 3,048,887원 3,554,096원 4,032,403원

 

 

이외에도 이미 가입된 아동이 가정으로 복귀하거나 기초생활수급자에서 벗어났다고 해도 계속 지원이 가능합니다.

 

다만 유사한 자산 형성 지원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에는 중복 참여가 불가능합니다.

 

 

지원 내용

아동의 보호자 또는 후원자가 매월 일정 금액을 적립할 경우에 월 5만 원 범위 안에서 1:2 매칭 지원하게 되는데요.

이 말 뜻은 1:2로 매칭해 주기 때문에 정부 지원금은 10만 원까지 매월 지원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디딤씨앗통장 만기 시 총 금액

 

 

따라서 5만 원을 저축하게 되면 정부지원금과 함께 월 15만 원이 입금되는 것이고요.

이와는 별개로 이자까지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적금 이자는 만기일까지의 잔여 기간에 따라 다르게 적용이 되며, 48개월 이상의 경우에는 현재 연 3.95%이지만 5년 초과할 때마다 5년 이상 금리로 매 5년 적용이 됩니다.

 

5만 원 이상 납부가 가능할 경우 최대 50만 원(연간 600만 원)까지 납부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지원금은 최대 금액이 10만 원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적어도 5만 원씩은 저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가입 시작 금액은 1,000원부터 가능합니다.

 

디딤씨앗통장 만기 시 총 금액

 

매월 5만 원씩 적립할 경우에와 10만 원씩 적립할 경우의 최대 금액이 위의 표에 나와 있는데요.

최대 18년 동안 적립한다고 했을 때 5만 원 적립 시 3,240만 원을 받게 되고, 10만 원을 적립하게 되면 4,320만 원을 받게 됩니다. 이자를 제외한 금액입니다.

 

사용처 및 중도 해지

디딤씨앗통장의 지원금은 연령에 따라서 사용처가 바뀌게 되는데요.

만 18세 만기가 되어 만 24세에 도달 전까지와 만 24세 도달 후의 용도에 차이가 생깁니다.

 

  • 만 18세 이후 ~만 24세 도달 전까지 : 학자금, 기술 자격 및 취업 훈련 비용, 창업지원금, 주거 마련 지원 등의 자립 사용 용도
  • 만 24세 도달 후 : 위에 언급한 자립 사용 용도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용도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

그렇기 때문에 만 24세가 되기 전까지는 자립 사용 용도로밖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아무래도 어린 나이에 목돈을 받게 되면 용도에 맞지 않게 사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인데요.

 

만 18세 이상 만기 해지가 도래해도 적립금의 사용 용도에 맞게 사용한다면 아동적립금과 정부매칭금을 모두 인출할 수 있습니다. 

 

 

사용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 용도에 맞는다면 인출이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용도에 맞지 않는다면 만 24세까지는 정부매칭금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중도 해지

중도 해지도 마찬가지인데요. 중도 해지하게 되면 아동적립금만 받아갈 수 있습니다.

이외에 정부매칭금은 만기까지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받을 수 없게 됩니다.

 

 

디딤씨앗통장 해지 사유

 

조기 인출이나 중도해지가 필요한 상황이 누구나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인정은 하지만 정부매칭지원금은 받을 수 없는 것이죠. 다만 만기 후의 적립금을 인출하거나 조기 인출 중에 아동적립금 한도 내에서 2회까지는 허용이 되기 때문에 잘 파악하셔서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

 

가장 좋은 점은 되도록 만기까지 인출하지 않고 두는 것입니다.

 

 

신청

신청은 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언제든지 가능하고요.

주변 행정복지센터에서 가입이 가능합니다.

 

온라인으로는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서 가능한데요.

 

 

복지서비스>서비스 찾기>복지서비스 상세(중앙) | 복지로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디딤씨앗통장 가입 모습

 

 

복지로 링크에서 신청하기 버튼을 누른 뒤에 각자의 인증서로 인증하여 로그인 후에 신청이 가능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혜택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자격 조건 등 알기 쉽게 정리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 방법 대상 금액, 2025년 변경 내용까지

 

2025 최저임금 및 주휴수당 월급 연봉 계산 확인하기

 

2025년 차상위계층 조건 및 혜택 신청방법 정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