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자격 조건 등 알기 쉽게 정리

by Planzee 2024. 12. 25.
반응형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조건에 해당되는 청년들에게 정부에서 추가적으로 매칭지원금을 더해 목돈을 마련해 주는 상품입니다. 납부한 금액 대비해서 정부지원금으로 최대 3배를 더 받을 수 있고, 여기에 적금 이자까지 받을 수 있는 상품인데요.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신청 자격과 조건, 혜택들을 자세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 대상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 대상은 3가지이지만 이 3가지 중에서도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유무에 따라서 2가지로 나뉘며 혜택도 일부 차이가 있습니다.

 

먼저 공통된 기준으로는 연령, 소득 기준, 가구 소득 3가지가 모두 해당되어야 가입이 가능합니다.

 

기준  
가입 연령 일반 신청 당시 만 19세 ~ 만 34세
(신청 월의 전월에 만 19세가 된 자 ~ 신청 월에 만 35세가 되는 자)
- 기초생활수급자
- 차상위계층
- 기준 중위소득 50%이하
만 15세 ~ 만 39세
(신청 월의 전월에 만 15세가 된 자 ~ 신청 월에 만 40세가 되는 자)
근로/사업소득 일반 현재 근로활동 중이면서 소득이 월 50만 원 초과 ~ 월 230만 원 이하
- 기초생활수급자
- 차상위계층
- 기준 중위소득 50%이하
현재 근로활동 중이면서 월 소득이 10만 원 이상 발생
가구소득 공통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입 가능 금액은 10만 원부터 최대 50만 원까지 가입이 가능하고, 최초의 가입 기준으로 정부지원금이 나오기 때문에 중간에 지원 유형을 변경할 수 없다는 점 참조해 주시고요.

 

은행에 저축하는 모습의 이미지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까지 통장 유지가 가능

가구원 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기준 중위소득 2024년 2,228,445원 3,682,609원 4,714,657원 5,729,913원 6,695,735원 7,618,369원
2025년 2,392,013원 3,932,658원 5,025,353원 6,097,773원 7,108,192원 8,064,805원

 

기준 중위소득은 위와 같이 가구 인원 수에 따라서 금액이 다른데요.

 

차상위 이하의 1인 가구부터 3인 가구까지는 3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을 100% 적용해 줘서 2024년 기준으로는 약 470만 원, 2025년 기준으로는 약 500만 원까지 통장 유지가 가능합니다.

그 이상 가구 수는 위의 표에 따르면 되고요.

 

차상위 초과 가구는 3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을 적용하여 2024년 기준 470만 원, 2025년 기준 500만 원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혜택

상품의 가장 큰 혜택은 차상위계층 이하와 초과 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저축 금액은 앞에서 언급했듯이 10만 원 이상 50만 원 이하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습니다.

 

차상위 이하는 3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고, 초과 계층은 10만 원을 지원금으로 받게 됩니다.

 

10만 원을 납입할 시 차상위 이하는 1:3 매칭을 통해서 매월 40만 원씩 저축을 하는 효과를 볼 수 있고, 차상위 초과는 1:1 매칭으로 20만 원씩 저축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더불어 적금 금리를 더할 수 있고요.

 

구분 차상위 이하 차상위 초과
가입 대상 기준 중위소독 50% 이하
만 15세 ~ 39세 청년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만 19세 ~ 34세 청년
본인 저축 월 10만 원 이상 50만 원 이하
정부지원금 30만 원 10만 원
기타 지원 정책대상별 추가지원금 지원
월 10만 원 저축
3년 만기 시 총 수령 금액
1,440만 원 720만 원

 

만약 차상위 이하 계층의 청년이 매월 10만 원씩 저축을 하게 되면 3년 동안 360만 원을 저축하게 됩니다.

그렇지만 정부에서 30만 원씩 36개월을 지급해 주기 때문에 총 1,440만 원을 받게 되고, 적금 이자까지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은행에 저축하는 모습

청년내일저축계좌 유지 기준

다만 가입을 위해서 조건만 맞추고 그 뒤에는 나몰라라 하면 안 되기 때문에 유지 기준이 존재하는데요.

이 계좌의 유지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근로 활동 지속 : 가입 후 3년 동안 근로 상태를 유지, 실직이나 일시적인 소득 중단 사유 발생 시 소명 자료 제출하면 유지 가능
  • 자립 역량 교육 이수 : 총 10시간의 교육 시간 이수
  • 자금 사용 계획서 제출 : 만기 후 받게 될 금액의 사용 목적에 관한 계획서를 제출

위의 3가지 조건을 유지해야 합니다.

근로 활동을 계속 지속해야 되는 요건이 있는데요. 중간에 계약이 만료되거나 회사가 없어지거나 중도 퇴사를 하게 될 경우가 있을 때 소명 자료를 제출하면 6개월까지는 유지가 가능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자산형성 포털 홈페이지

 

그리고 자립 역량 교육을 10시간 동안 받게 되는데 동영상 교육을 이수하면 됩니다. 자산형성포털(자산e룸터) 사이트에서 원하는 교육을 선택해서 이수하시면 됩니다.

 

또한 만기 수령 후 건전한 사용을 위해서 사용 목적에 관한 계획서를 제출하게 하고 있습니다.

 

불가항력적인 사정으로 인해 납입 중지 신청이 가능

군입대, 출산, 질병 등의 상황으로 납입이 불가능할 경우가 있는데요.

이때는 납입을 최대 2년 동안 중지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언급했던 대로 실직 및 퇴사는 최대 6개월까지 중지 가능합니다.

 

계좌 유지를 중지한 기간만큼은 추가적으로 납입하여 계좌 유지 기간이 자동으로 연장되어 총 3년을 채워야 합니다.

 

 

신청은 어디서?

청년내일저축계좌는 현재 하나은행을 통해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편한 방법은 직접 방문하는 것도 좋고, 인터넷을 통해서 가입할 수 있는데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도 가입할 수 있습니다.

 

복지로 홈페이지의 모습

 

복지서비스>서비스 찾기>복지서비스 상세(중앙) | 복지로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신청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저소득층에서는 목돈 모으기에 좋은 상품이기 때문에 꼭 가입하셔서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함께 봐야 좋은 팁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 방법 대상 금액, 2025년 변경 내용까지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인상 금액 및 조건 변화

 

2025년 차상위계층 조건 및 혜택 신청방법 정리

 

2025 최저임금 및 주휴수당 월급 연봉 계산 확인하기

 

실업급여 조건 자진퇴사 해도 받을 수 있는 경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