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에 대한 세금이 2022년 12월에서 2년 유예를 거치고 또 2년 유예되어 2027년 1월 1일부터 코인에 대한 세금을 내야 하는데요. 주식도 주식이지만 이제는 코인도 세금을 내야 하기 때문에 수익에서 일부를 신고하여 납부해야 합니다.
얼마나 어떻게 납부해야 하는지 소개해 보겠습니다.
과세 대상
과세 대상은 코인 거래로 얻은 소득이 해당됩니다.
여기에는 코인을 사고, 판매하여 얻은 수익이 해당되고요. 코인끼리 교환 거래를 통해서 얻은 수익도 포함됩니다.
해외거래소를 왔다 갔다 하여 차익을 남기는 것도 해당됩니다.
따라서 코인 거래 및 이동, 교환으로 생긴 모든 이익에 대해서 과세하게 됩니다.
반면에 기존부터 발행인이 발행해 왔던 용도 제한 전자 증표나 게임 아이템, 선불전자지급 스단, 전자화폐, 전자 어음, 한국은행 발행 전자화폐 등은 과세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소득 금액 계산
그럼 이제 소득 금액의 산정이 중요한데요.
해외 주식 거래를 많이 하신 분들은 조금 익숙한 방식입니다. 판매한 금액에서 구입한 금액을 뺀 결과로 계산하면 되는데요.
코인이 올라서 익절을 했을 경우 익절한 가격에서 구매한 가격을 빼고 코인의 숫자만큼 곱해 주면 되죠. 그러니까 결국 코인을 통해서 수익을 올린 순수 금액이 소득 금액으로 산정됩니다.
이 금액은 손절을 통해서 손해를 본 금액까지 합치게 되는데요. 이런 방식으로 절세하는 방법은 해외 주식과 같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적절한 익절과 손절인 것이죠. 손절 후 재투자 및 팔기 전까지는 수익으로 치지 않으니까요.
그리고 2027년이 되기 전에 이미 보유하고 있는 코인의 경우에는 2026년 12월 31일 당시의 시가와 실제로 구매한 금액과 비교해서 더 큰 금액을 취득 가액으로 인정하게 됩니다.
세액 계산하기
먼저 세금의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세액 = (총수입금액 - 필요경비 - 기본 공제) x 세율
- 기본 공제 : 연 250만 원
- 세율 : 20%(지방소득세 2% 별도 = 총 22%)
여기에서 필요경비를 제외해 주는데요. 수수료 및 세무 관련 비용 등이 해당되는데 주로 수수료 정도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업비트 기준으로는 한 번 거래할 때 0.05%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사고 팔게 되면 총 0.1%의 수수료를 내게 되고요.
100만 원 매수하게 되면 500원이 수수료로 같이 계산됩니다. 100만 원을 매도하게 되면 마찬가지로 500원이 나가게 됩니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거래 수수료로 인한 공제 비용이 크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총 수입에서 22% 정도 세금을 내면 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1년에 250만 원까지는 세금을 내지 않고요.
이더리움에 1,000만 원을 매수했다가 1,500만 원이 되어 매도를 했다면?
위와 같은 상황을 예로 든다면 500만 원의 수익이 발생한 셈이 되겠죠.
여기에서 기본 공제 금액이 250만 원이기 때문에 500만 원 - 250만 원 = 250만 원이 과세 대상이 됩니다.
250만 원의 20%는 50만 원이고, 지방소득세 2%까지 하게 되면 55만 원을 세금으로 납부해야 합니다.
보는 기준에 따라서 다를 수 있지만 생각보다 상당히 높은 금액인데요.
불로소득에 있어서는 높은 세율을 부과하는 편이기 때문에 어쨌든 코인 과세 유예가 끝나는 마당에 아쉬운 분들이 꽤 되실 것 같습니다.
세금 신고는?
세금 신고는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진행해야 합니다.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할 때 기타소득(분리 과세)로 종합소득세 신고해야 됩니다.
분리 과세이기 때문에 종합소득과 합산되지 않는 점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국세청>국세신고안내>법인신고안내>원천세>기타소득> 종합과세와 분리과세
국세청
국세청
www.nts.go.kr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는 국세청 홈페이지의 내용을 첨부해 드렸으니 참고하실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랄게요.
함께 봐야 좋은 팁들
해외 미국 주식 양도소득세 절세 안 하면 남는 게 없겠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뱅크 플러스박스 300만 원 이자 너마저 내려가다니 ㅠㅠ (0) | 2024.12.30 |
---|---|
2025년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 기간 및 기준 (0) | 2024.12.29 |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조건 및 자격 상실 조건은? (0) | 2024.12.27 |
디딤씨앗통장 지원금 기준 혜택 후원 방법 중도 해지 한꺼번에 보자 (0) | 2024.12.26 |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자격 조건 등 알기 쉽게 정리 (0) | 2024.1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