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969 종부세 기준 세율 계산 방법 알고 나서 계산기로 간단하게 종합부동산세로 한때 말이 많았습니다. 올리냐 내리냐에서부터 부동산 감세다 아니다로 말이 많았는데요.사실 따지고 보면 종부세를 내는 사람은 비율로 따지면 많지 않습니다. 종부세를 안 내는 사람들이 반대를 하거나 감세하라고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종부세의 기준과 세율,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종부세 누가 내나종합부동산세의 줄임말이기도 한 종부세는 부동산 소유자에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여기서 부동산은 주택과 토지를 의미하는데요. 집이나 땅을 가진 모든 이에게 부과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금액 이상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에게 부과되는 것입니다. 다주택자의 경우에는 9억 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 부과하게 되고, 1세대 1주택자의 경우에는 12억 원까지 공제가 되므로 12억 원.. 2024. 12. 17. 퇴직금 세금 계산기 활용해서 얼마나 세금을 내는지 확인해 봅시다 퇴직금은 회사가 근로자의 퇴직 시 1년에 30일 정도의 급여를 제공해야 합니다. 물론 좋은 회사는 연봉은 연봉대로 퇴직금은 퇴직금대로 챙겨 주겠지만 근로자의 연봉을 13으로 나눠서 그 중의 1은 퇴직금으로 적립해 두는 회사도 있습니다.제가 있었던 회사도 그랬는데요. 퇴직금을 받게 되면 세금을 또 내야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퇴직금 계산 방법과 세금을 계산하는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퇴직금의 계산(세전)퇴직금은 아무나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요. 1주간의 소정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하고, 1년 이상 근무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1년 단위로 근무 시 30일 정도에 해당되는 금액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단순 계산으로 한다면 일한 연수에 월 급여를 곱하면 대략 계산이 됩니다. 10년을 일했으.. 2024. 12. 16. 실업급여 조건 자진퇴사 해도 받을 수 있는 경우 근로자는 회사에 들어가게 되면 4대 보험을 가입하게 됩니다. 이때 고용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 근로자가 원하지 않게 직장을 잃게 되면 실업급여를 받게 됩니다. 자신퇴사의 경우에는 실업급여 대상이 아닌데요. 그렇지만 자진퇴사 사유에 따라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이 있습니다.이번 시간에는 실업급여 조건을 비롯해서 자진퇴사해도 받을 수 있는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실업급여 조건먼저 가장 기본이 되는 요건은 근무일수가 실업급여 조건을 충족했느냐입니다. 이 근무일수 요건은 이직일 이전 18개월 동안 고용보험에 가입된 기간이 통산 180일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니까 최소 180일을 근무해야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조건 중 하나를 채우게 된 것인데요.180일 하니까 6개월을 생각하지만 실제로 유급.. 2024. 12. 15.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3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