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장병들의 복지가 나날이 좋아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 가장 좋아진 것은 바로 군인 병사 월급인데요. 2000년대 들어서 매년 군인들의 월급은 오르긴 했었습니다만 1천 원에서 몇 천 원 정도에 불과했는데요. 이제는 몇 십만 원 단위로 올라서 입대하는 분들에게는 그나마 희소식이 될 것 같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2025년 병으로 입대하는 군인 월급 및 총 액수를 종합해 봤습니다.
군별 복무 기간
우리나라는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공익, 대체복무요원으로 근무를 할 수 있는 것을 다들 아실 겁니다. 장교나 부사관으로 입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정말 적은 금액을 받고 군대에 다녀왔었는데요.
또한 지금보다 훨씬 많은 기간 동안 군생활을 했었죠.
지금은 육군, 해병대는 18개월로 1년 반만 다녀오면 되고, 최대 기간인 대체복무요원은 2년 동안 근무하면 됩니다.
육군 / 해병대
이병 | 일병 | 상병 | 병장 | 계 |
2개월 | 6개월 | 6개월 | 4개월 | 18개월 |
해군
이병 | 일병 | 상병 | 병장 | 계 |
2개월 | 6개월 | 6개월 | 6개월 | 20개월 |
공군 / 공익
이병 | 일병 | 상병 | 병장 | 계 |
2개월 | 6개월 | 6개월 | 7개월 | 21개월 |
해군은 20개월, 공군과 공익은 21개월로 가장 긴 복무 기간을 가지고 있지만 2년이 안 되기 때문에 웬만해서는 대학교 복학 문제에 있어서는 여유롭다는 생각이 됩니다.
저는 빠른 복학을 위해서 12월에 입대를 했었고, 그래서 경쟁이 좀 치열했는데 이제는 한결 편해졌네요.
2025 군인 병사 월급
2025년도에도 병사들의 월급은 많이 올랐습니다.
사실 이미 다녀온 사람들이나 나이가 있는 분들은 최근 병사들 월급을 보면 엄청 많이 받는다고 하지만 요즘 사람들 입장에서는 아직도 부족해 보일 수도 있고요.
이병 | 일병 | 상병 | 병장 | |
2025년 | 860,000원 | 960,000원 | 1,200,000원 | 1,500,000원 |
2024년 | 640,000원 | 800,000원 | 1,000,000원 | 1,250,000원 |
증가율 | 약 25.6% | 약 16.7% | 약 16.7% | 약 16.7% |
2025년 기준으로 이병은 86만 원을 받게 됩니다. 사실 2개월만 이병 생활을 보내기 때문에 일병부터 본격적으로 받게 된다고 보면 될 것 같고요. 96만 원으로 거의 100만 원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상병이 되면 120만 원, 병장이 되면 150만 원을 받게 됩니다.
이병이 약 25% 넘는 수치만큼 올랐고, 나머지는 대략 16.7% 정도 상승했습니다.
사실 국방의 의무이긴 하지만 24시간 동안 근무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도 군 장병들도 줄어드는데 월급이 오르는 게 맞긴 하다고 봅니다.
부사관과의 급여 차이가 줄어들어서 간부 지원이 많이 줄어들었다고 해서 이것도 문제가 되고 있긴 한데요.
급여도 급여지만 군장 등의 물품들이 많이 개선되었는지 궁금하긴 합니다. 제가 근무할 때는 저보다 더 나이 많은 모포와 수통을 사용했으니까요.
대체복무요원
대체복무요원의 경우에는 현역병의 봉급에 해당하는 월급을 받습니다.
출처는 2024년 10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고 하는데요. 위 기준대로라면 24개월 복무 기간에서 병장의 보수를 받는 날이 안 오는 것 같은데요. 어쨌든 저만큼만 받는 것이 아니라 여비나 실비도 지급받게 됩니다.
어쨌든 현재 찾을 수 있는 출처를 남겨 드리니 궁금하신 분들은 들어가서 확인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군별 월급 총 합계
그럼 이제 군대에 다녀오면 받을 수 있는 총 금액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육군 / 해병대
이병(2개월) | 일병(6개월) | 상병(6개월) | 병장(4개월) | 계(18개월) |
1,720,000원 | 5,760,000원 | 7,200,000원 | 6,000,000원 | 20,680,000원 |
육군은 총 18개월 근무해서 받게 되는 금액은 총 2,000만 원이 넘게 됩니다. 2,068만 원이 나왔네요.
1년 반 동안 근무해서 이 정도 받게 되고, 잘만 모아 두면 사회에 나와서 학비나 생활비에 보탬이 되겠네요.
해군
이병(2개월) | 일병(6개월) | 상병(6개월) | 병장(6개월) | 계(20개월) |
1,720,000원 | 5,760,000원 | 7,200,000원 | 9,000,000원 | 23,680,000원 |
해군은 2개월을 더 근무하기 때문에 이보다 더 많은 2,368만 원을 받게 됩니다.
병장 생활을 2개월 더 하게 되므로 300만 원을 더 모을 수 있습니다.
공군 / 공익
이병(2개월) | 일병(6개월) | 상병(6개월) | 병장(7개월) | 계(21개월) |
1,720,000원 | 5,760,000원 | 7,200,000원 | 10,500,000원 | 25,180,000원 |
공군과 공익은 21개월로 1개월을 더 근무하게 되는데요.
병장을 1개월 더 하게 되므로 150만 원을 추가한 2,518만 원을 받게 됩니다.
급여만 보자면 이 정도인데, 군적금에 가입하여 매칭지원금을 받게 되면 최대 금액이 훨씬 많이 늘어납니다.
2025년의 1인당 군적금 최대 가입 금액은 55만 원입니다. 매칭지원금은 100%로 지원되기 때문에 55만 원을 가입하게 되면 55만 원을 추가로 받게 됩니다.
육군 기준으로 18개월을 가입한다고 했을 때 990만 원을 더 모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2,068만 원에 990만 원을 더하면 3,058만 원을 총 받게 됩니다.
물론 적금에 대한 이자는 제외한 금액이고, 군생활 동안 얼마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금액은 줄어들게 되겠습니다.
그렇지만 1/3을 쓴다고 해도 2,000만 원 이상은 모을 수 있기 때문에 착실히 모은다면 사회 생활하는 데에 큰 밑거름이 될 수 있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2025 군인 월급 및 군별 만기 제대 시 받게 되는 금액을 계산해 보았습니다.
인생에서 제일 빛나는 시기를 나라와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젊은이들에게 다시 한 번 감사를 보내며 오늘의 이야기는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함께 봐야 좋은 팁들
군적금 2025년 한도 상향 만기 시 최대 받을 수 있는 금액이?
2025 최저임금 및 주휴수당 월급 연봉 계산 확인하기
유연근무제 & 지원금 360만 원과 탄력근무제 간단하게 정리하면
국민연금 추가 납입 & 임의계속가입 & 연기수령으로 노후연금 더 많이 받자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가세 과세표준증명원 발급 이유와 방법 초간단 (0) | 2024.12.23 |
---|---|
근로소득세 세율 및 계산기 활용해서 얼마나 나오는지 확인하기 (0) | 2024.12.22 |
2025 최저임금 및 주휴수당 월급 연봉 계산 확인하기 (0) | 2024.12.20 |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인상 금액 및 조건 변화 (0) | 2024.12.18 |
종부세 기준 세율 계산 방법 알고 나서 계산기로 간단하게 (0) | 2024.1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