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남자라면 가는 곳이 군대인데요. 옛날에는 2년 이상의 시간을 거의 무일푼 수준으로 받으면서 다녀왔다면 이제는 엄청나게 많은 급여를 받으면서 적은 기간 동안 다녀오게 되는데요. 기간이 줄었다 하더라도 착실하게 돈을 모으면 목돈을 마련해서 나올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2025년에 군적금을 가입해서 만기 시 최대 받을 수 있는 금액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군적금 납입 한도 상향(2025년)
국군장병이 입대하여 받을 월급을 군적금에 가입하게 되면 나라에서 이 가입 금액에 대해 일부 금액을 매칭지원금으로 추가로 지급하기 시작했는데요.
2024년도에는 1개의 계좌에 월 최대 20만 원까지, 2개의 계좌에 넣을 수 있었기 때문에 총 40만 원을 군적금으로 가입할 수 있었습니다. 여기에 매칭지원금까지 더해서 더 많은 금액을 모을 수 있었는데요.
2025년도에는 이보다 더 올라서 매월 275,000원씩 2개의 계좌에 총 55만 원까지 저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재 매칭지원금은 100% 지원해 주고 있기 때문에 매월 110만 원씩 군복무 개월 수를 곱하게 되면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이 나오게 됩니다.
2025년도에 받게 될 병사들의 급여는 다음과 같은데요.
이병 | 일병 | 상병 | 병장 | |
2025년 급여 | 75만 원 | 90만 원 | 120만 원 | 150만 원 |
내일준비지원금 | 55만 원 | |||
총 급여 | 130만 원 | 145만 원 | 175만 원 | 205만 원 |
이병의 경우에는 75만 원이기 때문에 20만 원 가지고 생활하면 됩니다.
사실 군대에서 돈 쓸 일이 많이 없기 때문에 20만 원도 충분한데요. 제가 병장일 때 받은 금액도 올라서 34,000원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헬기레펠 위험수당 매월 3만 원을 더한 금액으로도 충분히 생활했습니다.
어쨌든 저축하고 남는 금액을 다 쓰기도 힘들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모으게 되는 돈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은행에서 제공하는 금리도 기본 5%부터 제공되는데요. 여기에서 우대사항이 적용된다면 더 높아집니다.
은행에 따라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대략 5%만 잡아도 시중 은행의 일반 적금 상품보다 높은 금리가 제공됩니다.
기간은 1개월부터 24개월까지 다양하게 가입이 가능합니다.
매칭지원금
군적금 매칭지원금은 성실하게 병역 이행을 하면서 미래를 위해 적금에 가입한 장병에게 적금에 가입한 금액만큼 동일한 금액을 매칭해서 지원해 주는 제도라고 앞에서 설명해 드렸는데요.
2024년도부터 100%를 지원해 주기 시작해서 2025년에도 동일하게 지원해 줄 예정입니다.
따라서 40만 원까지 지원해 주던 금액을 55만 원까지 매월 15만 원을 더 지원받게 되는데요.
여기에 대략 5%의 은행 이자까지 더하게 되면 더 많은 금액을 모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원금 + 매칭지원금의 최대 금액은 110만 원으로 18개월 복무 시 1,980만 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만기 시 얼마 받나
원금만 따지고 봤을 때 2024년도에 비해서 2025년도에는 15만 원이 더 오른 만큼 최대 55만 원까지 저축이 가능합니다.
원금과 함께 매칭지원금이 더해지면 아래와 같은 금액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습니다.
육군·해병대(18개월) | 1,980만 원 |
해군(20개월) | 2,200만 원 |
공군·공익요원(21개월) | 2,310만 원 |
대체복무요원(24개월) | 2,640만 원 |
근무 기간의 차이만큼 전역 시 받게 되는 금액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은행 이자는 적금이기 때문에 1,980만 원의 5~7%로 계산하면 안 되고요.
매칭지원금이 아닌 적금 원금에 대해서 기간에 따른 이자율로 계산해야 합니다. 처음 납입한 금액은 5~7% 금리가 적용되고, 그다음 납입분부터는 줄어든 기간만큼 금리도 줄어들게 됩니다.
계산이 복잡하기 때문에 적금 계산기로 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적금계산기 : 네이버 검색
'적금계산기'의 네이버 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지급 일정
만기가 되어 자동 해지 시 원금과 이자는 바로 수령하게 됩니다.
반면에 매칭지원금은 분기별 지급 방식에서 해지한 달의 다음달 25일에 지급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주말, 공휴일이 겹쳤을 경우에는 바로 전 평일에 지급하게 됩니다.
중간에 해지를 하거나 하게 되면 상당히 큰 혜택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되도록 해지하지 않고 끝까지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자금이나 사업자금, 전세자금 등으로 사용하기에 이보다 좋은 기회는 없기 때문에 기왕 하는 국민의 의무도 다할겸 나라에서 주는 혜택을 잘 활용해서 미래를 잘 설계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함께 봐야 좋은 팁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 방법 대상 금액, 2025년 변경 내용까지
노령연금 수령 나이 - 누가 몇 살부터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돈 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움 영웅문s# 앱에서 tiger 미국 S&P 500 매수하는 방법 (0) | 2025.01.22 |
---|---|
국민연금 추가 납입 & 임의계속가입 & 연기수령으로 노후연금 더 많이 받자 (0) | 2024.12.11 |
연금보험 vs 연금저축 세액 공제 비과세 차이점 알아보기 (0) | 2024.10.08 |
국민연금 과오납금 환급금 신청 및 조회하는 쉬운 방법 (0) | 2024.10.07 |
임신 출산 산후조리 지원금 빼먹지 신청하세요 (0) | 2024.10.02 |
댓글